silentko2531 님의 블로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silentko2531 님의 블로그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41)
    • 건축디자인 (10)
    • 건축과 사회 (14)
    • 건축가 분석 (7)

검색 레이어

silentko2531 님의 블로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건축디자인

  • 왜 사람들은 한옥에서 편안함을 느낄까? 전통 건축이 주는 심리적 안정의 구조

    2025.07.14 by silentko2531

  • 서울숲 역 옆 골목, 왜 여기에만 힙한 바가 몰렸을까?― 작은 골목이 만들어낸 감각의 건축 리듬

    2025.07.04 by silentko2531

  • 산성교회, 계단 위에서 내려온 신앙 – 유현준 건축가가 설계한 도심 속 예배당

    2025.07.03 by silentko2531

  • “사람을 오래 붙잡는 공간엔 뭐가 다를까?” – 머무름을 유도하는 건축적 장치들

    2025.06.30 by silentko2531

  • “왜 같은 20평인데 어떤 집은 넓어 보일까?” – 공간의 착시와 심리적 구조의 비밀

    2025.06.30 by silentko2531

  • 서울 사대문 안의 궁궐, 그 구조가 전하는 왕의 철학

    2025.06.28 by silentko2531

  • 왜 유럽 건물은 다닥다닥 붙어있고, 한국 건물은 떨어져 있을까?

    2025.06.25 by silentko2531

  • 노들섬이 달라진다 – 헤더윅 스튜디오가 그리는 한강의 새로운 풍경

    2025.06.24 by silentko2531

왜 사람들은 한옥에서 편안함을 느낄까? 전통 건축이 주는 심리적 안정의 구조

1. 한옥에 들어서면, 왜 마음이 느슨해질까?누구든 한옥 마루에 앉아본 적이 있다면 그 감정을 기억할 것이다.자연스럽게 숨이 길어지고, 주변을 둘러보게 되고,급했던 마음이 조금씩 느려지는 경험.그 공간은 설명할 수 없이 편안하고,익숙하지 않아도 낯설지 않다.현대적인 아파트나 빌라에서는 쉽게 느끼기 어려운 이 ‘심리적 안정감’은단순히 정서적 향수가 아니라, 한옥 구조 자체가 주는 건축적 체험이다.한옥은 수백 년 전부터 한국인의 기후, 문화, 삶의 속도에 맞춰 진화한 건축이고,그 구조와 구성은 인간의 감각 시스템에 맞게 설계된 공간 언어라 볼 수 있다.왜 사람들은 한옥에서 편안함을 느낄까?그 이유는 건축이 우리 몸의 속도, 시선, 감정, 체온에 맞춰은밀하게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2. 처마, 마루, 중정 –..

건축디자인 2025. 7. 14. 18:28

서울숲 역 옆 골목, 왜 여기에만 힙한 바가 몰렸을까?― 작은 골목이 만들어낸 감각의 건축 리듬

1. 갑자기 핫해진 서울숲역, 그 옆 골목엔 뭐가 다를까?2023년부터 지금까지, 서울숲역 인근은 서울에서 가장 빠르게 분위기가 바뀐 동네 중 하나다.이전까지만 해도 ‘성수의 그림자’ 정도로 불리던 이 지역이이제는 ‘서울숲세로골목’이라는 이름까지 생겨날 정도로 하루에도 수십 명의 방문객이 몰리는 감성 공간으로 떠올랐다.하지만 흥미로운 건 이 상권이 넓은 대로변이 아닌, 아주 좁고 구불구불한 골목 안에 있다는 점이다.지도 앱으로 봐도 눈에 잘 띄지 않는 작은 건물들 사이,2~3층짜리 옛 빌라와 단독주택 사이에왜 이렇게 많은 바(Bar), 카페, 디저트숍, 리빙 편집숍들이 들어서게 된 걸까?이건 단순한 트렌드가 아니다.건축적으로 보면, ‘작은 골목’이라는 도시의 틈이 만들어낸 공간적 기회다.서울숲 옆 골목은..

건축디자인 2025. 7. 4. 23:23

산성교회, 계단 위에서 내려온 신앙 – 유현준 건축가가 설계한 도심 속 예배당

1. 교회는 왜 늘 ‘올라가야만’ 했을까?도심 곳곳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종교시설 중 하나가 교회다. 하지만 우리가 익숙하게 떠올리는 교회의 이미지에는 몇 가지 공통된 특징이 있다. 대부분 높은 언덕 위에 위치하고 있고, 넓은 계단을 통해 접근해야 하며, 외부와는 어느 정도 단절된 구조를 지닌다. 이 구조는 마치 하늘에 가까워지기 위해 ‘위로 올라가야 한다’는 인식을 반영하는 듯하다.이러한 전통적인 교회 건축은 ‘신성함’과 ‘거룩함’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분명하다. 그러나 오늘날 도시는 과거와 다른 형태로 진화하고 있고, 사람들의 일상과 삶의 패턴 또한 크게 바뀌었다. 빠르게 움직이는 도시 속에서, 교회가 여전히 계단 위에 고립되어 있어야 할까?유현준 교수는 이 질문에서부터 산성교회라는 새로운 실험을 시작..

건축디자인 2025. 7. 3. 06:56

“사람을 오래 붙잡는 공간엔 뭐가 다를까?” – 머무름을 유도하는 건축적 장치들

1. 왜 어떤 공간은 사람을 오래 머무르게 만들까?누군가의 집에 방문했을 때, 어떤 곳은 들어가자마자 마음이 안정된다.카페에 앉았는데 메뉴판을 다 보고 나서도 굳이 일어나고 싶지 않은 경험,서점에서 잠시 책을 보려고 앉았다가 한 시간 넘게 자리를 지킨 경험.그 공간엔 특별한 장식이 있는 것도 아니고,의자가 유난히 푹신하거나 뷰가 탁월한 것도 아니다.그런데 이상하게도 그곳에선 ‘조금 더 있어도 괜찮을 것 같다’는 감정이 든다.반면 어떤 공간은,앉자마자 초조함이 밀려오고,자리를 오래 차지하고 있는 게 민망하거나 불편하게 느껴진다.무엇이 이 차이를 만들어내는 걸까?이 글에서는사람이 공간에서 오래 머무르게 되는 구조적 요소들을심리학, 건축 디자인, 감각 설계 등의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려 한다.그리고 이 과..

건축디자인 2025. 6. 30. 16:05

“왜 같은 20평인데 어떤 집은 넓어 보일까?” – 공간의 착시와 심리적 구조의 비밀

1. 평수는 같지만, 공간은 달라 보인다같은 20평 집인데, 어떤 집은 확 트인 느낌이고어떤 집은 이유 없이 갑갑하다.같은 면적, 비슷한 가구 배치, 유사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사람이 공간에서 느끼는 ‘넓이’는 완전히 다르게 체감된다.이것은 단순한 인테리어의 차이만은 아니다.사람의 감정과 심리가 공간과 맞닿는 방식에서 비롯된 결과다.공간을 바라보는 시야, 빛의 흐름, 가구의 위치, 벽의 배치,그리고 천장의 높이와 창문의 형태까지.이 모든 것이 함께 작동하여사람의 뇌가 ‘이 공간은 넓다’ 혹은 ‘답답하다’는 인식을 형성한다.이 글에서는왜 같은 평수의 집에서 전혀 다른 감정을 느끼는지를건축적 시선과 공간심리학의 원리를 통해 설명해본다.2. 공간의 크기는 면적이 아니라 시야의 폭이다사람은 공간을 숫자로 체감하지..

건축디자인 2025. 6. 30. 10:19

서울 사대문 안의 궁궐, 그 구조가 전하는 왕의 철학

1. 궁궐은 ‘왕이 머무는 집’이 아니다 – 권력이 설계한 도시적 장치서울을 걷다 보면, 뜻밖에 넓은 공간이 갑자기 열리는 순간이 있다.광화문광장 뒤로 펼쳐지는 경복궁, 한옥 지붕이 어지럽게 겹쳐진 창덕궁,정동길 끝에 자리한 덕수궁, 그리고 유난히 조용하고 낮은 담장에 둘러싸인 창경궁.이 네 곳은 모두 서울 사대문 안에 있는 ‘궁궐’이지만,같은 시대에 같은 왕이 사용한 공간이 아니다.궁궐은 단순한 ‘왕의 거처’가 아니다.궁궐은 통치 철학의 표현, 권력의 시각화, 신하와 백성을 향한 메시지다.그 구조는 지극히 계산되어 있고,그 위치는 우연히 정해지지 않았다.사대문 안에만 네 개의 궁궐이 존재했다는 것은단지 실용을 위한 중복이 아니며,정치적 유산, 철학적 갈등, 왕실의 생존 방식이 담겨 있는 결과물이다.이 ..

건축디자인 2025. 6. 28. 02:47

왜 유럽 건물은 다닥다닥 붙어있고, 한국 건물은 떨어져 있을까?

1. 문화가 만든 거리, 법이 만든 틈 – 건축 간격의 차이는 어디서 왔을까?해외여행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건 ‘도시의 풍경’이다. 특히 유럽을 여행한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말한다."건물들이 전부 다 붙어있고, 마치 하나의 벽처럼 보인다"고.실제로 프랑스 파리, 이탈리아 로마, 독일 베를린 같은 유럽 도시는 건물과 건물 사이가 거의 붙어 있다시피 한 연속된 거리를 보여준다. 반면, 한국의 도시들은 다르다. 일반적인 상업지구나 주거지에서도 건물 사이에 1미터 이상 떨어진 틈이 거의 의무처럼 존재한다. 좁은 골목길, 담벼락 사이, 혹은 주차공간으로 활용되는 그 ‘틈’은 이제 한국 도시 풍경의 일부가 되었다.이 차이는 단순한 디자인 취향의 차이가 아니다. 역사, 도시계획, 재료, 법규, 기후와 지형 등 복합..

건축디자인 2025. 6. 25. 21:08

노들섬이 달라진다 – 헤더윅 스튜디오가 그리는 한강의 새로운 풍경

1. 헤더윅 스튜디오, 기계적 도시를 유기적 풍경으로 바꾸는 건축의 마술사한강 한복판에 떠 있는 작은 섬, 노들섬.과거엔 쓰임도 적고, 찾는 이도 드물었지만 이제 전 세계가 주목하는 공간이 되려 한다.바로, 세계적인 건축가 토머스 헤더윅이 이 공간을 다시 디자인하기 때문이다. 토머스 헤더윅(Thomas Heatherwick)이 이끄는 헤더윅 스튜디오(Heatherwick Studio)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받는 건축·디자인 집단 중 하나다. 런던에 본사를 둔 이 스튜디오는 단순한 기능 중심의 건축을 넘어서, 감성적 경험과 조형적 아름다움, 기술과 자연의 조화를 결합하는 디자인 언어로 유명하다. 이들이 추구하는 건축은 직선과 반복으로 구성된 전통적 도시건축과는 거리가 멀다. 대신 유기적 형태, 실험적 ..

건축디자인 2025. 6. 24. 23:4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silentko2531 님의 블로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