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entko2531 님의 블로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silentko2531 님의 블로그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41)
    • 건축디자인 (10)
    • 건축과 사회 (14)
    • 건축가 분석 (7)

검색 레이어

silentko2531 님의 블로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건축가

  • 《브루탈리스트》, 건축가가 본 영화 – 콘크리트로 감정을 설계한 남자의 이야기

    2025.07.06 by silentko2531

  • 안도 다다오 vs 쿠마 켄고 – 콘크리트와 목재, 일본 건축의 두 시선

    2025.07.01 by silentko2531

  • 가우디 vs 르 코르뷔지에 – 곡선과 직선, 감성과 기능의 건축 철학 대결

    2025.06.24 by silentko2531

《브루탈리스트》, 건축가가 본 영화 – 콘크리트로 감정을 설계한 남자의 이야기

1. ‘설계자’가 아닌 ‘기록자’로서의 건축가건축가로서 이 영화를 보는 내내, 가장 크게 다가온 건주인공 라즐로 토스가 결국 공간을 설계한 사람이 아니라, 시대를 기록한 사람으로 보였다는 점이다.그는 2차 세계대전 이후, 폐허가 된 유럽에서미국이라는 신대륙으로 건너온 이민자이자 예술가다.그가 처음 미국 땅을 밟았을 때 받은 인상은,“이곳에 나의 언어를 짓는 게 가능할까”라는 질문이었다.건축은 철저히 ‘현실적’인 작업이다.건축가는 꿈을 꾸지만, 그 꿈은 법과 예산, 사회적 맥락 안에서수없이 꺾이고 깎인다.라즐로는 바로 그 ‘깎여 나가는 과정’을,브루탈리즘이라는 양식을 통해 적나라하게 표현한다.그가 설계하는 콘크리트 건물은차갑고 거칠고 무겁다.하지만 그 벽면 안에는그가 겪은 전쟁의 공허, 이주민으로서의 불안..

건축가 분석 2025. 7. 6. 12:17

안도 다다오 vs 쿠마 켄고 – 콘크리트와 목재, 일본 건축의 두 시선

1. 콘크리트의 침묵과 목재의 숨결, 두 건축가가 남긴 공간의 철학‘일본 건축’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의외로 다양하다.고요한 절제미, 자연과의 조화, 혹은 명상적인 분위기.하지만 그것이 무채색의 노출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절제된 공간인지,아니면 목재와 종이창이 어우러진 따뜻한 목구조 건축인지에 따라느껴지는 감정은 완전히 달라진다.이 대조적인 이미지를 대표하는 두 건축가가 있다.한 사람은 침묵을 설계한 남자, 안도 다다오,또 다른 한 사람은 자연을 끌어안는 공간을 만드는 쿠마 켄고다.둘 다 일본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건축가이며,현대 건축의 사유와 감성을 이끌어온 인물이다.하지만 그들이 바라보는 ‘건축의 역할’과 ‘재료의 언어’는 극명하게 다르다.이 글은 그 두 사람의 철학과 작품, 그리고 우리가 마주하..

건축가 분석 2025. 7. 1. 13:07

가우디 vs 르 코르뷔지에 – 곡선과 직선, 감성과 기능의 건축 철학 대결

1. 동시대에 태어났지만, 완전히 다른 길을 선택한 두 건축가오늘날의 도시에는 두 개의 건축 철학이 공존한다.감각적 곡선으로 감정을 자극하는 건축, 그리고 기능과 질서에 충실한 기계적 건축.이 극과 극의 시선을 대표하는 두 인물이 바로 가우디와 르 코르뷔지에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는 건축사에 있어 가장 극적인 전환이 일어난 시기였다. 산업혁명과 도시화, 그리고 예술의 근대적 실험들이 건축에도 큰 영향을 미쳤고, 이 변화의 흐름 속에서 등장한 두 인물이 바로 "안토니 가우디(1852-1926)"와 르 코르뷔지에(1887-1965)"이다. 두 사람은 약 35년의 나이 차이를 두고 살았지만, 활동 시기는 일정 부분 겹친다. 그러나 이들이 바라본 건축의 방향은 완전히 달랐다. 가우디는 자연에서 형상을 ..

건축가 분석 2025. 6. 24. 20:4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silentko2531 님의 블로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