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entko2531 님의 블로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silentko2531 님의 블로그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41)
    • 건축디자인 (10)
    • 건축과 사회 (14)
    • 건축가 분석 (7)

검색 레이어

silentko2531 님의 블로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아파트

  • “6억 대출 제한이 바꾼 도시의 풍경”– 건축가의 시선으로 읽는 집값, 정책, 그리고 공간의 미래

    2025.07.03 by silentko2531

  • “왜 같은 20평인데 어떤 집은 넓어 보일까?” – 공간의 착시와 심리적 구조의 비밀

    2025.06.30 by silentko2531

  • 부모님 집이 연금이 된다면? – 고령사회 해법으로 떠오른 '리버스 주택연금'

    2025.06.24 by silentko2531

“6억 대출 제한이 바꾼 도시의 풍경”– 건축가의 시선으로 읽는 집값, 정책, 그리고 공간의 미래

1. 대출이라는 기준이 도시를 재편하기 시작했다2025년, 이재명 정부가 출범하면서가장 주목받은 부동산 정책 중 하나는바로 ‘6억 원 초과 주택에 대한 대출 제한’이었다.정부는 이 제도를 통해‘고가 아파트로 쏠리는 자금 흐름’을 통제하고,부동산 투자보다 실수요 중심의 주거 문화를조성하고자 하는 의도를 드러냈다.정책의 핵심은 간단하다.“6억 원 이하 주택까지만 주택담보대출을 허용하겠다.”그런데 건축가의 시선으로 이 정책을 들여다보면,이는 단순한 금융 조치가 아니라,도시의 구조와 사람의 선택에 영향을 주는 ‘공간 재편의 기준점’이 된다.‘대출 가능 금액’이라는 단 하나의 기준은결국 어떤 집이 살아남고, 어떤 집이 외면받는지를 가른다.이런 흐름 속에서 사람들은 크고 새롭고 비싼 집 대신,낡고 작고 오래된 공간..

건축과 사회 2025. 7. 3. 00:47

“왜 같은 20평인데 어떤 집은 넓어 보일까?” – 공간의 착시와 심리적 구조의 비밀

1. 평수는 같지만, 공간은 달라 보인다같은 20평 집인데, 어떤 집은 확 트인 느낌이고어떤 집은 이유 없이 갑갑하다.같은 면적, 비슷한 가구 배치, 유사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사람이 공간에서 느끼는 ‘넓이’는 완전히 다르게 체감된다.이것은 단순한 인테리어의 차이만은 아니다.사람의 감정과 심리가 공간과 맞닿는 방식에서 비롯된 결과다.공간을 바라보는 시야, 빛의 흐름, 가구의 위치, 벽의 배치,그리고 천장의 높이와 창문의 형태까지.이 모든 것이 함께 작동하여사람의 뇌가 ‘이 공간은 넓다’ 혹은 ‘답답하다’는 인식을 형성한다.이 글에서는왜 같은 평수의 집에서 전혀 다른 감정을 느끼는지를건축적 시선과 공간심리학의 원리를 통해 설명해본다.2. 공간의 크기는 면적이 아니라 시야의 폭이다사람은 공간을 숫자로 체감하지..

건축디자인 2025. 6. 30. 10:19

부모님 집이 연금이 된다면? – 고령사회 해법으로 떠오른 '리버스 주택연금'

1. 국민연금 고갈과 비정상적인 자산 불균형, 정책은 왜 필요해졌는가?요즘 2030은 퇴직 이후를 상상하지 않는다. 국민연금은 믿을 수 없고, 집 한 채는커녕 전세조차 부담이 된다. 반면, 부모 세대는 수십 억짜리 아파트에 살면서도 현금 흐름이 부족해 병원비를 걱정한다. 한국 사회는 지금 거대한 구조적 모순 앞에 서 있다. 노후를 보장해주기로 했던 국민연금은 빠르게 고갈되고 있고, 젊은 세대는 더 이상 그 연금마저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에 처했다. 1990년대 초만 해도 “국가가 노후를 책임진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이제는 ‘2040년대 초반에 연금 기금이 소진될 수 있다’는 보도가 반복되며 국민 불신이 깊어졌다. 한편,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아파트 자산은 상상을 초월하는 가격 상승을 거듭..

건축과 사회 2025. 6. 24. 08:2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silentko2531 님의 블로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